1. 데이터 타입
1) 정의
- 컴퓨터에서 변수를 만들 때 반드시 지정해줘야 하는 것
- 변수 선언시 데이터 타입의 크기에 맞는 공간이 메모리 상에서 할당되어 데이터 저장이 가능
2) 기본형 종류
(1) 정수형
데이터 타입 | 크기 | 범위 |
byte | 1byte | -128~127 |
short | 2byte | -32768~32767 |
int | 4byte | -(2^31)~(2^31)-1 |
long | 8byte | -(2^63)~(2^63)-1 |
(2) 실수형
데이터 타입 | 크기 | 범위 |
float | 4 byte | -3.4E38~3.4E38 |
double | 8 byte | -1.7E308~1.7E308 |
(3) 문자형
데이터 타입 | 크기 | 범위 |
char | 2 byte | unicode |
(4) 논리형
데이터 타입 | 크기 | 범위 |
boolean | 1 byte | true/false |
3) 레퍼런스(참조) 타입
- 배열에 대한 레퍼런스
- 클래스에 대한 레퍼런스
- 인터페이스에 대한 레퍼런스
4) 문자열
- 기본 데이터 타입에는 속하지 않으며 "String" 클래스를 이용해 선언 가능
- 문자열의 표현은 큰따옴표(" ")로 표현
- 문자열과 문자열 간의 연결은 '+' 연산을 사용
2. 변수 선언
1) 변수 선언 방법
- 데이터 타입+변수명
- 같은 타입의 데이터 변수를 여러개 선언할때는 변수명을 콤마(,)로 구분하여 작성
2) 문자열 이스케이프
이스케이프 문자 | 의미 | 이스케이프 문자 | 의미 |
\n | 줄바꿈 | \' | 작은따옴표 출력 |
\t | 가로 탭(약 4칸 띄움) | \" | 큰따옴표 출력 |
\v | 세로 탭(콘솔창지원x) | \\ | 백슬래시 출력 |
\b | 백스페이스(1칸 지움) | \? | 물음표 출력 |
\r | 캐리지리턴(1줄 지움) | \ooo | 8진수 표기법의 ASCII문자 |
\f | 폼 피드(콘솔창지원x) | \xhh | 16진수 표기법의 ASCII문자 |
\a | 경고벨(삐소리) | \xhhhh | 16진수 표기법의 유니코드 문자 |
3. 참고링크
'수업 > 수업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-03-06-오전:SQL (0) | 2024.03.06 |
---|---|
2024-03-06-오전: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(0) | 2024.03.06 |
2024-03-04-오전:JAVA (0) | 2024.03.04 |
2024-02-29-오후:프로그래밍 (0) | 2024.02.29 |
2024-02-29-오전:태그 (0) | 2024.02.29 |